한국의 무형문화유산에 나타난 여신의 성격
황루시 미디어문학과 교수, 관동대학교 다신교인 한국의 무속이나 민간신앙에는 여신이 많다. 아기에게 생명을 주는 삼신은 할머니신이다. 삼신할머니는 아기가 무사히 태어나고 자랄 수 있도록 돕는다. 바람의 신은
황루시 미디어문학과 교수, 관동대학교 다신교인 한국의 무속이나 민간신앙에는 여신이 많다. 아기에게 생명을 주는 삼신은 할머니신이다. 삼신할머니는 아기가 무사히 태어나고 자랄 수 있도록 돕는다. 바람의 신은
임장혁 교수, 중앙대학교 민속학과 농경 문화와 함께 발달된 두레는 조선 후기에 이앙법이 널리 실시되면서 정착된 마을 단위의 공동 노동조직이다. 이앙법은 못자리에 볍씨를 파종하고 어느 정도
지앙 동(Jiang Dong) 중국 아태무형문화유산센터 준비사무소, 소장 중국 동부 화이허(淮河)강 계곡 인근 지역에는 화려한 색상과, 다양한 형식, 활기찬 장단, 신명나는 분위기로 보는 이를 매료시키는 독특한
심연옥 교수,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금은 화려하고 아름다운 광채가 나며 오래 두어도 변하지 않아 사람들은 이를 진귀하게 여겨 호사스런 장식에 사용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금박이 사용된 역사는 아주
마츠야마 나오코(Naoko Matsuyama) 연구원, 동경문화재연구소 손으로 제작되는 전통 수공예는 사람들의 삶을 지탱해 온 특정 지역의 지리적 조건과 역사,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다양한 전통 수공예 중에서
권두현 사무처장, 세계탈문화예술연맹 전통문화는 서구화로 이해되는 산업화와 지연공동체의 붕괴로 인하여 전승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도적 장치로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고자 하나, 무형문화유산이 가진 특성상 인위적인 보존은 박제화의
송지원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문묘는 최고 유학 사상가들의 위패를 모셔 놓은 사당이다. 유학을 집대성한 공자와 그의 제자 4명, 중국 유학자 16명, 우리나라의 유학자 18명을 포함하여
소놈이쉬 윤덴바트(Sonom-Ish Yundenbat) 무형유산과장, 몽골 문화유산센터 몽골인들은 전통적으로 말(馬)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으며 이는 몽골의 국가적 가치규범과 상징물(국기, 국장), 나아가 민요에 반영되어 있다. 말 형상의 머리
서인화 선임연구원, 국립국악원 장악과 1939년 이왕직아악부에 의해 편찬된 <이왕가악기(李王家樂器)>에는 66종의 전통악기가 기록되어 있다. 이 악기들은 연주 음악의 장르에 따라 아악(雅樂), 당악(唐樂), 향악(鄕樂)의 세 종류로 분류된다.
사이토 히로츠구(Hirotsugu Saito) 문화재전문가, 일본 문화청 문화재부 전통문화과 닌교 조루리 분라쿠는 가창자인 다유(太夫), 샤미센(三味線) 연주자, 세명의 인형사, 이렇게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인형극이다. 16세기 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