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의 무형문화유산 목록작성을 위한 노력
세토키 쿠알루바우(Setoki Qalubau) 행정담당관, 피지 토착언어문화연구소 지식은 토착 문화의 토대이자, 그 기원이 되는 문화의 한 표현물로서 조상 전래의 영역과 관련된 토착 공동체 내부의 관계들을 조성한다.
세토키 쿠알루바우(Setoki Qalubau) 행정담당관, 피지 토착언어문화연구소 지식은 토착 문화의 토대이자, 그 기원이 되는 문화의 한 표현물로서 조상 전래의 영역과 관련된 토착 공동체 내부의 관계들을 조성한다.
다카하시 아카츠키(Akatsuki Takahashi) 전문가, 유네스코태평양지역사무소 문화프로그램 사모아는 풍부한 구전 전통과 신화, 전설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전통축제와 ‘아바(Ava)’ 혹은 ‘카바(Kava)’ 의식과 같은 제의와 긴밀하게
느가투아이네 마우이(Ngatuaine Maui) 현지조사연구원, 쿡제도 문화개발부 쿡제도의 구전 전통에 따르면 신성의식은 일반적으로 마라에(marae)라고 불리는 신성한 장소에서 행해진 것으로 전해진다. 각 부족은 과거에 신들에 대한 기원과
할레 라후이(Hale Lahui) 연구담당관, 파푸아뉴기니 문화위원회 문화는 우리 존재의 정수이며, 우리의 역사와 언어, 전통, 신앙을 반영한다. 그러나 세계화와 변화의 바람 속에서 우리 문화와 전통은 고착되지
시미오네 세부드레드레(Simione Sevudredre) 행정관, 피지 이타우케이언어문화연구소 이타우케이(iTaukei)족으로 알려진 피지 토착민들에게 무형문화유산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기원전 3500년부터 동남아시아에서 태평양에 걸쳐 전달된 풍부한 구전 전통에 의해 피지의 이타우케이족은
사미소니 카농가타(Samisoni Kanongata) 교수, 통가 서태평양대학교 통가의 농경방식은 숲속의 휴경지를 이용한 산림농업으로서 야자는 물론 타파(tapa), 천의 염색에 활용되는 비스쵸비아 자바니카(bischovia javanica), 백단향 향수 제조에 쓰이는
레시엘리 K. 투포우(Lesieli K. Tupou) 장인, 직조기술 통가의 모시카카(Mosikaka) 직조기술은 통가인들이 자신의 정체성의 일부로 여길 만큼 생활에 밀착되어 있고, 통가 이외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엠마 크루즈 바아이(Emma Kruse Va'ai) 부총장, 사모아국립대학교 여자들이 만든 지붕은 다 되었는데, 남자 쪽은 아직이다(eau le inailau a tamaitai). 이 사모아 속담은 공통된 목표와
할레 라후이(Hale Lahui) 연구관, 파푸아뉴기니 국립문화위원회 파푸아뉴기니는 750개의 민족집단과 언어를 가진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문화를 지닌 곳 중 하나이다. 24개 주(州) 정부로 구성된 파푸아뉴기니는
갈루말레마나 스티븐 퍼시벌(Galumalemana Steven Percival) 소장, 티아파파타예술센터 2012년 6월 사모아는 독립 50주년을 경축하였다. 사모아는 태평양군도 최초의 독립국가로 사모아 소군도에 거주하는 폴리네시아인들은 다양하고 독특한 문화유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