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코르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조르지나 로이드(Georgina Lloyd) 박사과정, 시드니대학교 법과대학 캄보디아의 앙코르(Ankor) 지역은 고고학적, 건축학적 중요성으로 잘 알려진 세계문화유산(1992년 세계유산목록 등재)이다. 앙코르 지역은 뛰어난 예술성을 갖춘 크메르(Khmer) 조각과 디자인
조르지나 로이드(Georgina Lloyd) 박사과정, 시드니대학교 법과대학 캄보디아의 앙코르(Ankor) 지역은 고고학적, 건축학적 중요성으로 잘 알려진 세계문화유산(1992년 세계유산목록 등재)이다. 앙코르 지역은 뛰어난 예술성을 갖춘 크메르(Khmer) 조각과 디자인
응어 둑 틴(Ngo Duc Thinh) 소장, 베트남 제의문화연구보존센터 베트남의 사궁(四宮) 종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존재는 어머니 신(母神) 리에우 한(Liêu Hanh)이다. 베트남 사람들은 이 여신이 네
가우라 만차차리타디푸라(Gaura Mancacaritadipura) 차장, 인도네시아 국립크리스사무국 자바의 역사서인 『바바드 타나 자위(Babad Tanah Jawi)』는 15~16세기부터 남해(南海)의 여신 칸젱 라투 키둘(Kanjeng Ratu Kidul)에 대한 전통적인(종교가 아닌) 믿음이
세실리아 V. 피카체(Cecilia V. Picache) 기획관, 필리핀 국가문화예술위원회 필리핀 이푸가오(Ifugao)주 현지조사에서 필자가 가장 먼저 깨달은 사실은 시간이 나의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곳에서 시간은 사람들의
카르멘 D. 파딜라(Carmen D. Padilla) 유네스코필리핀위원회 문화위원회, 위원장 필리핀 전역의 토착 공동체들 안에서 전통공예는 한정된 시장성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전승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필리핀
레 티민리(Le Thi Minh Ly) 부국장,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유산국 15년 전 베트남에서 ‘무형문화유산’이라는 말을 쓰는 이는 없었으며, 2001년 문화유산법의 공식적 맥락에서만 사용되었다. 베트남 문화유산법은 무형문화유산
칼리드 자바이드(Khalid Javaid) 파키스탄 록 비르사, 소장 파키스탄의 역사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파키스탄 서민들이 일상복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수공예 직물이 친근할 것이다. 오 천년 전부터 인더스
마리아흐 와우룬투(Mariah Waworuntu) 잡지 와스트라 편집장, 인도네시아 전통직물애호가협회 인도네시아의 전통 직물공예인 바틱(batik)은 2009년 10월 2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수백 년 전 서민들의 예술적 정신을 바탕으로
푸다르노 빈친(Pudarno Binchin) 학예사, 브루나이 다루살람 말레이기술박물관 브루나이 다루살람에 거주하는 약 10,000명의 두순(Dusun)족은 전통적인 화전 벼농사를 행하는 농민들이다. 그들은 각각 테투오(tetuwo)라는 원로회의에 의해 관리되는 3~4대(代)의
손나라 프락(Sonnara Prak) 부국장, 캄보디아 문화예술부 유산총국 캄보디아의 무형문화유산 목록작성 노력은 공연예술, 음악, 수공예, 언어를 포함하는 캄보디아의 다양한 문화와 예술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노력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