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무형문화유산 목록작성
우르트나산 노로브(Norov Urtnasan) 유네스코몽골위원회 사무총장 장구한 세월을 통해 중앙아시아 전역의 광활한 초원지대에서 유목생활을 해온 몽골인들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유목문명’을 건설했다. 몽골의 주거경관은 몽골인들의 정신세계와 구전 ·
우르트나산 노로브(Norov Urtnasan) 유네스코몽골위원회 사무총장 장구한 세월을 통해 중앙아시아 전역의 광활한 초원지대에서 유목생활을 해온 몽골인들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유목문명’을 건설했다. 몽골의 주거경관은 몽골인들의 정신세계와 구전 ·
레 티민리(Le Thi Minh Ly) 부국장,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유산국 15년 전 베트남에서 ‘무형문화유산’이라는 말을 쓰는 이는 없었으며, 2001년 문화유산법의 공식적 맥락에서만 사용되었다. 베트남 문화유산법은 무형문화유산
세토키 쿠알루바우(Setoki Qalubau) 행정담당관, 피지 토착언어문화연구소 지식은 토착 문화의 토대이자, 그 기원이 되는 문화의 한 표현물로서 조상 전래의 영역과 관련된 토착 공동체 내부의 관계들을 조성한다.
아오야기 시게루(Shigeru Aoyagi) 대표, 아프가니스탄 유네스코 브렌단 카사르(Brendan Cassar) 전문가, 유네스코카불사무소 문화프로그램 레자 샤리피(Reza Sharifi) 문화부 보조자, 유네스코카불사무소 아프가니스탄은 천 년 이상 계속되어 온 풍부하고
손나라 프락(Sonnara Prak) 부국장, 캄보디아 문화예술부 유산총국 캄보디아의 무형문화유산 목록작성 노력은 공연예술, 음악, 수공예, 언어를 포함하는 캄보디아의 다양한 문화와 예술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노력의
파로가트 아지지(Faroghat Azizi) 차관, 타지키스탄 문화부 무형문화유산은 가장 보호받지 못한 예술적 유산 중 하나이다. 오늘날 서로 다른 문화가 공존하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세계화되는 추세에서 우리는
할레 라후이(Hale Lahui) 연구담당관, 파푸아뉴기니 문화위원회 문화는 우리 존재의 정수이며, 우리의 역사와 언어, 전통, 신앙을 반영한다. 그러나 세계화와 변화의 바람 속에서 우리 문화와 전통은 고착되지
R. A. 마흐무드 셀림(R. A. Mahmud Selim) 소장, 방글라데시 쉴파칼라아카데미 Md. 타주딘(Md. Tazuddin) 담당관, 유네스코방글라데시위원회 사업 세계에서 가장 큰 삼각주 지대인 방글라데시에는 여러 개의 큰
칼리드 자바이드(Khalid Javaid) 소장, 국립민속전통유산연구소 록 비르사(Lok Virsa) 파키스탄 문화는 국민 대다수에 의해 실천되고 있는 살아있는 전통으로서 유 · 무형의 문화유산을 포함한다. 풍부하고 다양한 유산을
해리 왈루요 사무관, 인도네시아 문화관광부 자원개발기구 수만 개의 섬과 수백 개의 독특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된 인도네시아는 다양한 형태의 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정치적, 사회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