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me
You can quickly access information from ICH Courier through theme search.
공연
민속무용 화구덩
지앙 동(Jiang Dong) 중국 아태무형문화유산센터 준비사무소, 소장
전통문화유산의 계승과 미래 문화 창의를 위한 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권두현 사무처장, 세계탈문화예술연맹 전통문화는 서구화로
케랄라의 제의 무용극 무디예뚜
몰리 카우샬(Molly Kaushal) 부교수, 인도 인디라간디국립예술센터
전통악기 다녠
겡옵 카르충(Gengop Karchung) 정보미디어담당관, 부탄 국립도서관·아카이브센터
소리의 어울림, 야칸족의 악기 유산
펠리페 M. 드레온(Felipe M. de Leon) 무형유산분과위원장, 필리핀 국가문화예술위원회
마두금 전통음악
소놈이쉬 윤덴바트(Sonom-Ish Yundenbat) 무형유산과장, 몽골 문화유산센터
편경과 편종 : 궁중음악의 전통 종과 관종(管鐘)
서인화 선임연구원, 국립국악원 장악과 1939년
와양 클리틱-전승의 어려움과 생존을 향한 의지
수마리(Sumari) 와양 백과사전 저자 클리틱(klithik)은
닌교 조루리 분라쿠(人形浄瑠璃文樂) 인형극
사이토 히로츠구(Hirotsugu Saito) 문화재전문가, 일본 문화청 문화재부 전통문화과
한국의 인형 연행 전통과 꼭두각시놀음
허용호 HK연구교수,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한국에서
수중인형극 : 마을에서 도시로
레티민리(Le Thi Minh Ly) 부국장,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유산국
키르기스 예술 상징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
알마잔 맘베토바(Almajan Mambetova) 대표, 공공 여성단체 ‘키르기스 유산(Kirgyz Heritage)’
샤르크 타로날라리(SHARQ TARONALARI) 국제 음악 축제
알리셰르 이크라모프 사무총장, 유네스코우즈베키스탄국가위원회 유네스코
중국에서 번창하고 있는 먀오족의 원무
우 윤밍 전교수, 중국예술연구원 무용연구소
인도의 원무 가르바(GARBA)
쉬린클라 사하이 프로젝트 조정관, 인도문화유산온라인백과사전(사하피디아)
자인 단오제의 여원무(女圓舞)
김미숙 교수, 경상대학교 민속무용학과 원무는
첸나이 축제를 통해 보는 문화 발전
수다 고팔라크리슈난(Sudha Gopalakrishnan) 소장, 인도 사하피디아
토착민 무용예술 – 말레이시아 원주민의 독자성
누라리자 모흐드 아자하리(Noorariza Mohd Azahari) 기업소통홍보실, 말레이시아 정보통신문화부
셰르보지(SHERBOZY): 타지크인들의 사자춤
딜쇼드 라히모프(Dilshod Rahimov) 민속학과장, 루다키 언어·문학·동양학연구소
콘(KHON): 태국 가면극
수라뽀네 비룰락(Surapone Virulrak) 명예교수, 출라롱콘대학교
모두의 문화로 함께 만들어가는 중국의 푸젠 인형극 전통
탄쉐강 푸젠성 무형문화유산보호센터 보존과 계장
몸짓으로 공감하는 한민족의 뿌리,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무용단
전봉수 홍보출판팀,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오늘날 우즈베키스탄에
르콘 콜(LKHON KHOL) 보호를 위한 공동체의 노력
산 팔라 사무관, 문화예술부 서적독서과 차이 다빈 연구원, 문화예술부
톨파바쿠투(TOLPAVAKOOTHU) : 전통 보호를 위한 포클랜드 이니셔티브
자야라잔 의장, 포클랜드민속문화국제센터 포클랜드민속문화국제센터(Folkland
부탄의 궁중무용
응아왕 초덴 기록담당관, 국가토지위원회 부탄은
이란의 궁중무용 : 번영과 변화 그리고 유배
니마 키안 창립자 겸 예술감독, 페르산스 발레단
한국의 궁중무용 : 정재(呈才)와 일무(佾舞)
김영숙 예술감독, 정재연구회 한국의 궁중무용은
인도네시아 케라톤 수라카르타 하디닝랏의 무용예술
삽토노(K.R.R.A.삽타디니그랏) 대표, 수라카르타 궁중 가믈멜란연주자
말레이 전통공연예술의 인식제고와 참여
로우 응아이 위엔 회장, 카키세니협회 린 루우 팀장, 카키세니협회
요호르, 부리야트인들 공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세렌도르지 솔몬 무형문화유산 전문가, 몽골 국립문화유산센터
전통 보호에 대한 새로운 대안, 음악생명력측정법 : 캄보디아 짜빼이(CHAPEI) 사례
캐서린 그랜트 선임강사, 호주 브리즈번 그리피스 대학 퀸즈랜드 음악대학
연극과 민속예술을 통한 사회통합의 성공사례 ‘자나카랄리야 프로그램’
파라크라마 니리엘라 예술감독, 스리랑카 자나카랄리야문화재단
키르기스스탄 민속음악 교육의 새로운 바람, 전통 코무즈 교육법 ‘엔벨기’
굴나라 아이트파에바 소장, 아이기네문화연구센터 아이자 아브드라흐마노바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아이기네문화연구센터
부활의 줄 : 무라가차 마을의 줄인형극
란잔 센 회장, 방글라나탁닷컴 인도에서는
반 나라실프, 전통 콘 의상 자수의 전승
키티폰 차이분 과장, 태국 문화부 문화진흥국 연구개발과
라마야나 가면 춤: 국경 없는 무형유산
몬타캄 수얀나탑 키디마이살실로 유네스코 방콕사무소
방글라데시 마니푸리 극단의 정체성 탐색
슈바시스 신하 창립자, 마니푸리 극단
공중제비로 유리천장을 부수다
모우수미 초우두리 차우 (Chau) 무용수
핫보이(HAT BOI) 가면분장예술
응유옌 안 콴 학생, 베트남 호치민문화대학교
전통무용과 인공지능의 만남
김미숙 민속무용학과 교수, 경상대학교
COVID-19와 민속음악
마두라 두타 방글라나탁 닷컴
사회 풍자의 희극으로서의 봉산(鳳山)탈춤
전경욱 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
가: 피아칸 / 아스타마트리카 나아크 8명의 어머니 신의 신성 가면무용
수라이 샤키아 푸르나 손스 공예가, 네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