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소니 카농가타(Samisoni Kanongata)
교수, 통가 서태평양대학교

통가의 농경방식은 숲속의 휴경지를 이용한 산림농업으로서 야자는 물론 타파(tapa), 천의 염색에 활용되는 비스쵸비아 자바니카(bischovia javanica), 백단향 향수 제조에 쓰이는 산탈룸 야시(santalum yasi), 빵나무(artocorpus altilis), 약재용으로 쓰이는 모린다 치트리폴리아(morinda citrifolia) 등의 유용한 나무들을 재배하는 다중 경작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전통적인 주산물은 얌(yam), 토란(taro), 고구마, 카사바(cassava)이며 경작과 소비의 주요 대상이다. 통가인은 좋은 토양과 기후를 활용하여 비료 없이도 고도로 생산적이며 치밀한 농경방식을 발전시켰다. 통가의 전통 농경방식은 기본적으로 일모작이나, 선조들은 개인적 선호, 음식의 안전성, 영양학적 요구, 친환경적 지속성, 사회적 의무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를 크게 변화시켰다.

토착 지식

현대적 기술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소농(小農)의 일부 의사결정과 실천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토착 지식을 고려하는 일은 중요하다. 트룹은 환경친화적 농업 발전의 잠재적 기반으로서 개발도상국에 속한 소농의 토착 지식과 능력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고한바 있다.

Figure 1. Three main moon phases.

이들 농민은 자신들의 자원에 대한 깊은 지식을 지니고 있으며, 종종 변화를 위한 실험과 적응에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많은 학자들이 개발도상국에 속한 농민의 지식, 습속, 고유한 기술, 신앙을 연구해 왔다. 농민의 이러한 통찰력과 적응기술은 대체로 오랜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며 ‘문화적 전통’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공동체 안에서 가족이나 연장자로부터 관찰과 실습을 통해 지식을 습득한다. 이러한 지식의 활용은 현대과학에서의 경험주의적 측정이나 비용-수익 분석 방식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세계 각지의 농민은 농경과 어업, 그 외 문화적 활동을 위해 음력 주기에 따른 지식을 활용한다. 통가의 소농들 또한 고대로부터 농경 활동을 규정하는 독자적인 월력을 가지고 있다. 낮은 모두 동일하게 보였으므로 그들은 달의 변화주기를 통해 시간을 규정하였다. 한 해는 13개의 음력 월로 구성되며 각 월은 28일로 이루어진다. 각 월마다 달은 표 1에서 제시한 세 단계의 변화 주기를 보이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한 달은 초승달로 시작되며 일몰시에 관찰이 가능하다. 초승달부터 보름달까지 12일이 걸리며 보름달에서 그믐까지 12일이 걸린다. 달이 다시 나타날 때까지는 4~5일이 걸린다.

통가의 월력은 시기 선정과 생산성을 규정하는 점에서 소농의 농경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 해의 경과는 일반적으로 그 해의 각 월 및 두 주요 계절과 관련해서 구분된다. 통가의 월력에서 각 월의 명칭은 통가에서 가장 중시되는 작물인 얌 경작법의 발전 과정에 근거하고 있다. 크게 보아 달의 주기에 따라 특정 작물을 심고, 잡초를 제거하고, 땅을 준비하는 데 유리한 시기가 있다. 한 주요 제보자에 따르면 통가의 월력은 가장 적은 노력으로 최대의 수확을 얻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맞는 농경 활동이 이루어져야 더 많은 수확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농작물을 경작하는데 적절한 시기는 달의 주기에 따라 결정된다. 그에 따르면 초승달과 보름달 사이의 시기에 심은 작물이 가장 잘 자라며, 제초작업은 달이 기울기 시작하는 시기가 적합하다. 반면 그믐에서 초승달까지의 4~5일 간은 땅이나 씨앗을 준비하고 경작물의 식재를 준비하는 기간으로 적합하다. 통가의 소농은 통상 이 일정에 맞춰 농경활동을 수행한다. 일부 농부의 말에 따르면 “보름이 아니거나 달이 약한 시기에는 수확물이 적기 때문에 작물을 심지 않으며, 달빛이 강한 보름 이전에는 잡초를 제거하는 일이 어렵기 때문에 제초작업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분명한 사실은 일부 농민이 이 월력을 인지하고 있으며, 그 주기에 따라 농경활동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References

Halavatau, S.M., Key Issues Affecting Sustainable Land Management in the Kingdom of Tonga, 1998.

Havea, L., Field Survey on Agricultural Technology – Transfer – in Tonga, 1998.

Hoponoa T., Agro forestry System in Tonga, et al.,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