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 워드
객원교수,다롄해양대학교 해양고고학과

1909년 설립된 다롄 해양대학교(Dalian Maritime University, 이하 DMU)는 프로젝트 211 국립 핵심 대학교 및 국제해양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우수 센터이다.1 항해사의 요람이라고 불리는 DMU는 개교이래 중국 내 최대 항해사를 배출했다. DMU는 의심할 여지 없는 중국 해양 산업의 심장부이다.

2004년 중국이 2003 무형문화유산협약을 비준한 이후 세계화와 사회 변화에 직면하면서 DMU는 중국의 항해문화를 보존해야 한다는 급박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2008년 해양역사문화연구센터(Centre for Maritime History and Culture Research, 이하 CMHCR)를 설립했다. 중국 항해문화보존을 담당하는 CMHCR은 지난 12년 동안 역사, 고고학, 유산, 언어와 언어학, 번역과 해석, 해양기계공학, 항해과학 및 기술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21명 이상의 관련 전문가를 배출하며 이 분야 연구의 본고장으로 성장했다.

이 글에서는 항해문화 유산 보호를 선두에서 이끌어온 DMU의 중요한 활동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항해문화에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아 다음 세대로 전승해온 항해관습과 묘사, 표현, 지식 그리고 방법이 모두 담겨 있다. 항해문화는 공동체가 만들고 적용한 것이며 공동체에 정체성, 소속감 그리고 지속성을 제공한다. 항해문화의 중요성은 그것이 가진 유형적표현-예를 들면, 배, 난파선, 둑 등-이 아니라 항해문화를 통해 전승하는 풍부한 지식과 기술에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오늘날에는 항해문화를 위협하는 수 많은 요소가 존재한다. 그 중 몇 가지를 들어보면 기술보유자의 노령화, 젊은층의 관심 저하, 원료 부족과 산업화를 꼽을 수 있다. 따라서 항해 문화를 보호하는 것은 곧 지식, 기술 그리고 의미를 현 세대에 전달하는 일이다.

유엔의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DG) 중 양질의 교육(SDG4)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CMHCR은 DMU의 항해대학과 협력한다. 지속적인 항해문화의 발전과 해석 그리고 이를 미래 세대에 전승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과정을 강화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항해과학기술(Navigation Science and Technology)학부 과정은 과거 관습과 근대 관습을 조화롭게 교육한다. 즉 천체를 이용한 항해와 같은 과거 관습 유지와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의 활용처럼 현재에 적용할 필요가 있는 근대 관습의 전승 간에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DMU식 접근법의 기본은 공동체와 지식 보유자는 곧 이의 보호와 전승에 있어 핵심적인 주체임을 이해하는 것이다. 그들의 참여는 항해문화관습과 전통의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CMHCR 설립하면서 DMU는 다음의 목표와 목적을 설정하였다.
1) 관련 공동체와 협력하여 개발한 항해문화 목록작성을 통한 항해 문화 보호
2) 중국 항해문화 보호와 그 중요성에 대한 중국 내외의 인식 제고를 위한 정책의 모니터링, 제안 그리고, 적절한 범위내 제안의 수용
3) 다방면의 내륙과 해양의 항해문화 연구
4) 학술대회, 공개 강연 그리고 인기 있는 방송을 포함하여 출판, 발표, 홍보 및 공공활동을 통한 연구결과 보급
5) 객원 연구원 프로그램을 통해 중국의 항해문화 보호 역량 구축을 위한 국제협력, 학제 간 대화 그리고 지식 공유 촉진
6) 중국 항해문화의 중요성과 보호 필요성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 홍보 및 인식 제고 활동에 참여
7) 공동체의 완전한 동의와 참여를 통한 해양과 민족고고학분야 연구 등 여타의 적절한 보호 활동에 참여

CMHCR의 중심 활동은 연구이다. 현재는 그 외 두 가지 중요한 보호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 첫 번째는 중국 교통부가 지원하고 CMHCR의 한 칭(HAN Qing) 국장이 주도하는 내륙수로 교통(Inland Water Transport)이라는 2년짜리 프로젝트이다. 목적은 내륙수로 항해문화와 유형적 표현을 목록화하고 조사하여 기록하는 것으로, 올해 후반까지 중요 공동저작 출판물이 출간될 예정이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중국-해외 해양문화교류(Globalisation of Sino-foreign Maritime Cultural Exchange, Ocean Cultures)의 세계화에 대한 기록과 관련된 것이다. 이는 중국 최초의 프로젝트로, 3년간 중국 교육부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프로젝트의 목표는 기원전 111년에 시작한 중국 해양 항해 문화와 그 장구한 역사, 중국-해외 해양교류의 전통을 기록하여 보호•보존하고 증진하는 것이다. 프로젝트 결과는 40만 단어의 단행본, 10편의 논문, 8개의 정책보고서 그리고 헬싱키대학교와 공동으로 준비한 특별 편집본으로 나오게 될 것이다. 또한 항해문화보호에 관해 문화 간 대화를 증진하기 위한 국제 회의를 통해 편집본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dmu.edu.cn를 방문하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참고문헌
1. Project 211 is a National Key Universities project initiated in 1995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o raise research standards at
high-level universities. The name for the project comes from an abbreviation of the 21st century and 100 participating universities.